-생활스포츠지도사·청소년국궁지도사 권성옥
3. 학교체육 궁도의 현황과 활성화방안
청소년기 학생들은 국가 궁도의 미래 저변임에도 학교 교육 진입과 학교 교육 외 교육 확산에 장애가 되는 요소가 많이 있다. 활쏘기는 어른들의 문화와 놀이라는 인식에서 벗어나 145m 바탕 거리만 주장하지 말고, 일반 남녀와 노년 및 청소년(초·중·고교)의 체력에 따른 근거리 사거리를 새롭게 규정하여 전통문화와 스포츠로 정착시켜야 한다.
교육 당국의 홍보 및 관심 부족으로 학교체육진흥법에 의해 학교스포츠클럽 종목에 제도적으로 선정은 되었으나 안전에 대한 막연한 불안감과 국궁은 힘들고 어렵다는 잘못된 고정관념으로 일반인과 청소년들의 국궁장 접근을 멀리한 탓에 국궁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고, 교육장비(활과 화살 등)와 교육 장소 및 교재도 부족할 뿐 아니라 지도자에 대한 처우도 부족하여 초등(6,087개교) 중등(3,214개교) 고등(2,356개교)학교에서 학교스포츠클럽 및 방과 후 수업으로 국궁 교실을 운영하는 학교는 160여 학교(2020년 기준)로 전체 학교의 1.4%도 되지 않는 실정이다.
일본 궁도 인구 14만 중 학생이 70%(중,고,대, 일반 10 : 50 : 10 : 30)인 점을 감안하면 비교도 할 수 없는 실정이다. 최근 중국도 전통 활 복원에 노력하여 학교 교육에 적극적으로 반영하고 있다. 한국에는 최근에 대학 궁도연맹이 설립되었지만 한국은 국궁 인구 (15,000~20,000)의 대부분이 일반인이다.
학교스포츠클럽에 국궁이 포함되어 10년의 기간이 지났지만 동기부여를 할 수 있는 청소년 활쏘기 대회는 17개 시·도 중에서 부산시 교육청과 경북교육청이 주최하는 학교스포츠클럽 대회는 2곳에 불과하고, 육군사관학교에서 주최하는 전국대학생 국궁대회, 천안독립기념관의 전국 청소년 전통활쏘기대회, 광주의 청소년 우리 활터 활쏘기 대회, 전국 화랑 활쏘기 대회, 예천 세계 전통 활쏘기 대회, 청도 화랑의 날 기념 신화랑 선발 전국 청소년 활쏘기 대회, 연천 흑의 장군 배 및 2019 전국 중고 궁도대회, 2019 한국 중고 궁도연맹 회장기 대회 등이 개최되었지만 관계기관의 지원이 미미하여 연속하여 개최하기가 어려운 행사도 있다.
활쏘기의 탁월한 교육적 가치를 홍보하고, 어른들의 문화에서 청소년 체육과 문화 활동으로 인식을 전환하여 활쏘기를 스포츠 활동 외에 전통문화 유산으로, 나아가 국가무형문화재 및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인식의 대 전환이 된 교육환경을 조성하여, 학교체육 과목은 물론 전통문화 교육 및 인성 교육의 주요 교육내용으로 발전시켜 정규 교과와 창의 체험활동, 학교스포츠클럽, 국궁 시범학교 및 선도학교를 선정하여 적극적으로 지원해야 국궁의 발전을 기대할 수 있다.
향교 사찰 등 전통문화 시설 활용을 통한 활성화와 전국 시도에 활쏘기 체험교육관 건립과 지자체가 마련한 전국 활터에 청소년을 위한 근거리 표적을 두어 청소년에게 교육 기회를 부여하고, 근사 거리의 표준화와 사거리의 다양화, 교재개발과 장비공급, 전국 및 시도대회 확대를 통한 동기부여와 상급학교 진학 및 취업 시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제도적 개선도 동기부여에 크게 기여될 것이다.
초등학생은 학년별 신체적인 차이가 커서 개개인에 맞는 장비 준비에 어려움이 있고, 여교사 비중이 높아 활쏘기에 대한 두려움이 크게 작용하고 있으며, 중학생들은 정서적 불안함이 위험한 행동으로 나타나지 않을까 하는 막연한 두려움이 있고, 인문계 고등학교는 입시에 올인하고 있어 청소년 활쏘기에 장애요인이 되지만 잠시 스트레칭을 하고 정신적 휴식을 취하면 오히려 집중과 건강관리에 도움이 된다는 것을 교원과 교장연수 교육 시간에 홍보하여 전통문화 궁도에 대한 이해를 높여야 한다.
교육기관의 원활한 교육 지원을 위하여 문화유산 보존 및 진흥활동비 지원을 할 수 있도록 전통무예진흥법, 무형문화재 보전 및 진흥법(문화재보호법), 학교체육진흥법, 평생교육 진흥법 등에 의한 조례를 제정하여 각종 행사 및 문화유산 전승자에게 지원해야 한다.
4. 국궁교육 지도법
학교 국궁 교육과정에서 지도해야 할 내용은, 실기교육의 반복 연습을 통하여 사법의 단계별 표준 이론을 통한 자세 갖춤과 궁도의 예절이란 개념으로 교육하면서 사풍과 전통문화에 대한 인식과 자존감을 확립하도록 해야 한다.
초·중학교에서는 이론 교육보다 자세 형태를 갖추는 교육을 통하여, 자연스럽고 유연한 궁체를 형성하는데 주안점을 두고, 지도교사와 강사는 평생 궁체의 기틀을 세워준다는 의식을 갖고 교육에 전념해야 한다.
초·중등학교 과정에서의 표준 자세 갖춤은 평생교육의 가장 중요한 기초이고 시작이므로 표준 자세에 의한 실기 위주로 교육하고, 용구 관리를 스스로 철저히 하도록 하며, 부원의 협력과 결집을 위한 사회성 교육에도 중시해야 한다.
『조선의 궁술』교범의 사법 지침인 집궁제원칙은 유엽전 활쏘기를 가장 잘 설명하고 있다. 이는 활쏘기의 처음인 활터의 지형과 풍세를 두루 살펴 먼저 선관(觀)지형과 후찰(察)풍세를 하고, 궁체 형성에 있어 군자의 선비정신에 비견되는 과녁의 정면을 향한 양발의 모양(非丁非八)과 어깨를 널어 뜨려 활을 제어함으로서 나타나는 현상인 흉허(胸虛)와 가슴과 어깻죽지가 앞으로 삐쳐나가지 않도록 하며 기운을 하단전에 모으며 복식호흡을 하는 복실(腹實)이 다음이며, 줌손은 태산을 받쳐 버티듯 단단히 하고(前推泰山), 깍지손은 연삽하게 펼쳐 마치 호랑이가 맹렬히 돌진하며 꼬리를 치켜들고 달리는 모양과 같은 발시형태(發如虎尾)로 팔꿈치를 세워 팔꿈치가 처지지 않도록 평평하게 하여 당기고, 깍지손 아귀를 굳건히 한다. 발여호미 형태의 발시는 깍지손이 크게 원을 그리게 되는데, 이것은 당김과 버팀으로 경직된 근육을 이완시켜주는 체육 효과가 있음을 말한다. 쏘아서 맞지 않음은(發而不中) 남의 탓이 아니라 자신으로부터 비롯된 것이기에 자신을 되돌아 살핌으로서 그 잘못을 찾아야(反求諸己) 함을 교육을 통해 가르치고 반복해서 지적하고 수정해 주어야 한다.
5. 신사를 위한 활쏘기의 기초
활을 처음 배우는 학생에게 활을 들어서 당기고 발시 할 때까지 시간차 순서를 동작이 전개되는 순서대로 크게 세 덩어리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예비동작, 본 동작, 마무리 동작으로 나누고, 이것을 다시 세분하면 예비동작으로는 ⓵발디딤-발디딤은 활쏘기의 안정된 자세를 유지하는 기본이 되며, 丁자도 八자도 아닌(비정비팔) 자세를 유지하고, 좌측 발은 과녁의 좌측 하단 우측 발은 우측 하단을 향하여 마주 서되 오른발은 23.5。(지축각)로 하고 양발의 뒤축 거리는 주먹 1개 반 정도로 유지한다. ⓶손가짐-줌손은 흘려쥐고, 각지손은 엄지로 시위를 걸고 검지와 중지(쌍가락)로 엄지의 손톱을 덮는다. ⓷살 메우기-활을 왼쪽 허벅지에 대고 줌손의 검지로 화살의 아래 1/3쯤을 살짝 잡고, 깍지손은 오늬를 잡고 마루깃이 활의 바깥을 향하게 하여 오늬 홈을 절피에 바로 댄 다음 엄지로 살짝 눌러 끼운다.
본동작으로는 ⓸걸치기-활쏘기 동작의 시작으로 깍지를 시위에 걸고 활의 아랫 고자를 불거름에 걸치고, 온몸의 힘을 빼고 줌손은 잘 흘려 쥐었는가, 과녁의 평소 조준점은 어디인가, 호흡은 안정되었는가, 마음은 비웠는지를 점검한다.
⓹들어 올리기-오른손 죽머리와 중구미를 쳐들고 왼손은 힘을 빼고 오른손의 힘으로 들어 올린다, 왼손은 딸려 올라가며 ʹ아낙네가 물동이를 이듯이ʹ 하며 이마 높이 위까지 들어 올린 상태에서는 앞손과 뒷손이 동그랗게 원을 그리고 있어야 하며, 살촉은 밑으로 쳐지게 하여 과녁 바로 위에 살짝 올려놓는다. 들어 올리면서 숨은 내쉬기 시작한다.
⓺ 엄지발가락 누르기-남들 눈에 뜨이지 않을 만큼 엄지발가락으로 땅을 지그시 눌러 몸의 무게 중심이 앞으로 살짝 움직일 정도로 하고, 정수리의 백회혈과 아랫배의 단전과 발바닥의 용천혈이 일직선상에 놓이게 선 상태가 가장 안정된 자세를 이룬다.
⓻깍지손 끌기-깍지손을 천천히 귓바퀴를 반듯이 스치도록 당기면서, 동시에 숨을 들이마시면서 줌손도 과녁으로 민다. 숨을 들이마시는 빠르기로 깍지손을 당긴다. 깍지손을 당기면서 동시에 하단전을 팽팽히 긴장시키며 허벅지를 조인다. 깍지손 끌기, 숨들이 쉬기, 허벅지 힘주기가 동시에 이루어지기까지 빈활과 주살 당기기를 충분히 하게 한다.
⓼조준-조준의 시작은 활을 밀고 당기면서, 깍지손에서 화살대를 따라 눈은 엄지손가락 위의 화살촉과 과녁과의 상대적 관계를 통한 조준선 정열을 해야 하며, 과녁의 정곡을 향해 과녁을 바라보는 얼굴은 잔신 후까지 움직이지 말아야 하고, 시위를 당기면서 턱이 올라가거나 입을 벌리지 않아야 한다. 턱은 쇄골의 패인 곳을 향한 정도로 하고 정곡울 살펴 조준할 때 눈으로 물건을 본다고 하는 느낌이 아닌, 얼굴이 향한 방향에 눈을 둔다고 하는 느낌이며, 심안(心眼)으로 과녁을 보는 것이다. 조준은 두 눈을 사용하지만, 오른쪽 눈을 주안(主眼)으로 하여, 왼쪽 눈은 종안(從眼)으로 왼쪽 눈을 약하게 사용하는 훈련이 필요하다. 조준의 수련은 상하 조준을 한 다음 좌우 조준을 수정해야 하며, 조준 또는 방사 시 눈을 깜박이지 않아야 하고, 화살이 꽂힌 내용을 통하여 조준점을 보정하여야 한다.
⓽만작-각지손을 다 끌고 줌손을 다 민 상태를 만작이라 하며, 만작에 도달하기 위하여 좌우 균등하게 밀고 당겨 만작에 이르게 해야 한다. 만작은 정신력·체력·궁력의 삼력이 긴장 속에서 조화를 이루는 찰라로 궁술의 극치이다. 화살대는 광대뼈와 입꼬리 사이에 걸쳐야 하며 아래로 내려가면 깍지손이 제대로 빠지지 않는다. 중구미를 엎지 않으면 줌이 서지 않고, 줌이 서지 않으면 살은 뒤 나거나 한곳으로 가지 않는다. 깍지손을 당기는 것은 손목이 아니라 중구미와 죽머리로 하며, 더 이상 밀고 당길 수 없는 상태에서 그 자리에 멈쳐 있는 것이 아니라 계속 힘을 가하면서 밀고(靜動靜) 당겨야 한다. 줌손은 과녁을 향하여 민 상태로 오른팔과 가슴 왼팔로 이어지는 가로선과, 머리 가슴 다리로 이어지는 세로선이‘⍏’자로 만나는 가슴 한가운데서 힘이 깍지손과 꼭 같이 50:50으로 나누어지도록 젖 먹던 힘까지 모두 짜내어 가슴을 ʹ빠개면서 순식간에 발시로 이어진다.ʹ 만작 상태는 2~3초가량 머무는 것이 좋으며, 이때 허벅지에도 힘이 들어가고 분문도 꽉 조이고 숨은 최대로 깊이 들이마신 상태가 되어야 단전호흡이 된다. 만작에서 마음(心)과 몸(身)과 활(弓)이 혼연일체가 되어야 만작의 극치가 된다.
⑩발사(發射)·이시(離矢)·방사(放射)-만작 상태에서 힘을 계속해서 밀고 당기며 가슴을 넓게 벌리며 가슴을 빠개면 무념무상의 경지에서 화살이 저절로 튕겨 나가는 시점이 감지된다.
그렇게 감지된 순간에 발시할 뜻을 더하면 가장 좋은 발시가 되는데 자신이 어떻게 쏘는지 그것조차 잊고 뒷손이 화살을 떠나보낸 반동으로 저절로 호랑이가 꼬리를 늘어뜨린 것처럼 펴지면 좋은 자세가 된다. 발시할 때 뒷죽이 낮게 끌리면 손이 바깥쪽으로 홱 뿌리게 되어 살대가 빰에서 떨어지기 때문에 살은 뒤 나게 된다(벗깍지).
발시(이시)할 때 주의점은 화살을 과부족 없이 벌리고 조여주며, 조준은 화살촉을 목표물 중앙에 두고, 화살과 시위가 얼굴에 저울을 재듯 일정한 감각으로 닿도록 하고, 줌손과 깍지손의 높이가 수평을 유지하면서 힘의 균형을 유지한 상태로 2~3초간 집중이 이루어지는 순간에 발사해야 하는데, 의도적으로 깍지손을 움직여서 시위를 놓으면 적중이 어렵다. 뒷손이 하는 일을 앞손이 모르게 해야 한다.
⑪마무리 동작(殘身)-발시 후에 거두는 동작으로 ⌈전통사법」으로 쏘면 줌손은 과녁쪽으로 나가다가 불두덩 앞으로 지고, 뒷손은 큰 원을 그리면서 떨어진다. 만작 상태에서 발시와 동시에 양손이 땅을 향해 반원을 그리며 ʹ학이 날개를 접는 듯ʹ한 동작이 된다. 만작이 되기 전까지는 머리 위로 올려서 손을 밀고 당기는 모양이 머리 위에서 반원을 그리고, 만작 이후에는 펴진 몸짓을 거두는 동작이 밑으로 반원을 그려 이 두 원을 합치면 완벽한 원이 된다.
6.결론
이상에서 전통 활쏘기의 개략적인 요점을 정리해 보았다. 이것은 교육의 편의상 구분하였을 뿐이고, 사실은 한 동작으로 물이 흐르듯 자연스럽게 이루어져야 한다. 전통활쏘기 사법은 ⌈조선의 궁술」이 근본이며, 집궁원칙에 함축해서 잘 표현되어 있다. 오늘날 백인 백색의 활쏘기는 집궁원칙을 무시하고 적중만을 중시한 제도와 개인주의가 만든 산물이다. 활쏘기가 ⌈국가무형문화재」로 지정된 것은 역사와 전통문화가 함축되었음을 의미하며, 미래 주역인 청소년에게는 백인 백색의 표준화되지 않은 사법을 국가무형문화재로 전수해서는 국궁의 미래는 빛을 발하지 못할 것이다. 청소년 국궁지도자는 ⌈국궁의 미래 주역들」에게 ⌈국가무형문화재」를 전수하는 사명감을 가지고 전통활쏘기를 지도해야 한다.
참고문현
정진명 전통활쏘기 출판사 고두미
<저작권자 ⓒ 한청타임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채석일 기자 다른기사보기